주식 시장에서는 롱 잡았다, 숏 잡았다, 롱숏 전략 등과 같은 롱 포지션(Long position), 숏 포지션(Short position)과 관련한 용어들이 많이 사용 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서 정확한 롱 포지션, 숏 포지션의 의미와 롱숏의 유래, 롱숏 전략에 대해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숏 포지션의 실화를 바탕으로한 ‘빅쇼트(The Big Short)’라는 영화를 보셨나요? 해당 영화는 2008년 리먼 브라더스 사태로 불리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배경으로 한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입니다. 주인공인 마이클 버리는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저신용자 주택담보대출 금융상품)의 허점을 파악하여 주택시장이 붕괴 할 것을 예상한 숏 포지션을 취하면서 엄청난 수익을 올리는 내용의 영화입니다. 시간이 있으시면 꼭 한번 보시기 바랍니다.

롱 포지션(Long position)이란
롱 포지션은 매수(buy)의 포지션(전략)입니다. 즉, 주식을 추가 매수하거나 가지고 있는 주식을 보유하는 전략입니다. 꾸준한 적립식 투자, 거치식 투자 후 홀딩, 콜옵션 매수, 레버리지 상품 등이 롱 포지션에 해당합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주식을 어떤 경우에 추가 매수를 하거나 보유할까요?’ 해당 질문이 근본적인 롱 포지션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바로 해당 종목의 주식이 현재의 가격보다 더욱 상승할 것으로 예측하는 경우 추가 매수, 혹은 해당 주식을 팔지 않고 보유하게 됩니다.
즉, 롱 포지션은 주가가 상승 할 것으로 기대하여 주식을 매수하거나 보유하는 매수의 전략입니다. 주로 우리가 흔히 하는 대부분 현물 주식에서 사용되는 전략으로 장기 투자에서 많이 사용하는 전략입니다.
그렇다면 반대의 의미인 숏 포지션을 알아보겠습니다.
숏 포지션(Short position)이란
롱 포지션의 반대 의미입니다. 숏 포지션은 매도(Sell)의 포지션(전략)입니다. 즉, 주식을 매도하는 전략입니다. 공매도, 풋옵션 매수, 인버스/인버스 레버리지(곱버스) 투자가 숏 포지션에 해당합니다.
숏 포지션의 경우에도 간단하게 ‘우리가 언제 주식을 팔까요?’ 라는 질문과 대답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주식을 매도하는 이유는 많지만 이익을 창출하기 위해 매도하는 경우는 한 가지입니다. 대부분 이익을 창출하는 경우 우리는 주식의 가격이 하락할 것 같은 경우에 매도하게 됩니다. 주식의 가격이 떨어질 것 같을 때 떨어지기 전에 미리 매도하는 경우입니다.
즉, 숏 포지션은 주가가 하락 할 것으로 기대하여 주식을 매도하는 매도의 전략입니다. 주로 공매도가 숏 포지션에 해당하게 됩니다. 하지만 숏 포지션이 공매도 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공매도에 관한 포스팅은 추후 따로 할 예정입니다.
공매도는 현물 거래에서 많이 사용 되는 방법입니다. 파생 상품의 대부분인 선물 거래에서는 인버스ETF 등과 같이 주가가 하락 할 것을 예상하여 배팅하는 투자도 숏 포지션 중 하나입니다. 선물거래보다는 현물 주식 거래를 대부분 많이 하기 때문에 숏 포지션 = 공매도라는 인식이 깊게 박혀있는 것 같습니다.
현물과 선물 거래에 관한 포스팅, 인버스 ETF에 관한 블로그 내 포스팅을 이용하여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숏 투자 시 주의 사항
쇼트 포지션을 취하는 투자 기법은 주식이 상승할 경우 손실을 볼 수 있는 투자 기법입니다. 롱 포지션보다 위험도가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바로 우리의 주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제가 성장하며 우상향하게 되어있습니다. 숏 투자는 하락 시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에서는 하락장이 길게 유지되지 않으며 장기 투자가 불가능합니다. 짧은 하락장의 흐름을 읽을 줄 알아야 하며 경험이 많고 본인 만의 투자 전략이 확실한 분이 사용해야 하는 투자 기법입니다.
하지만 세계 경제 침체 상황이 장기간 이어지게 되는 상황이라면 하락장에서도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메리트가 있는 투자 기법이라는 점은 명확합니다.
그렇다면 주식 시장에서 롱포지션과 숏포지션은 어떻게 유래되었을까요?
롱숏의 유래
롱숏의 정확한 유래인 정설은 현재 없지만 여러가지 가설이 있습니다.
그 중 두 가지 가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중세 유럽의 탤리 스틱(Tally stick)설
중세 유럽에서는 거래가 이뤄질 때 거래 당사자 쌍방에게 긴 나무 막대인 탤리 스틱(Tally stick)을 나눠주었다고 합니다. 이 때 하나는 긴(Long) 막대였고 하나는 짧은(Short) 막대였다고 합니다. 긴 막대는 사는 쪽에게 나눠주었으며 짧은 쪽은 파는 쪽에게 나눠주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관습이 현재 까지 이어지면서 매수는 롱(Long), 매도는 숏(Short)으로 굳어졌다는 가설입니다.
주식 차트에서 볼 수 있는 상승, 하락 구간의 길이

해당 가설은 주식 차트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현상으로 인해 롱숏이라는 용어가 유래 되었다는 가설입니다. 흔히 주식이 상승할 경우 완만하게 오르며 오랜 기간(Long)이 걸리지만 하락할 경우 가파르게 하락하면서 비교적 짧은 기간(Short)이 걸리기 때문에 상승장은 롱 포지션, 하락장은 숏 포지션의 유래가 되었다는 가설입니다.
위의 자료는 네이버 증권에서 가져온 미국 3대 주가지수 중 S&P500의 주가지수입니다. 해당 자료에서도 완만하게 상승하여 오랜 기간이 걸리지만 일시적으로 하락하는 경우 매우 가파르게 하락하며 짧은 기간이 걸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두 가지 가설 외에도 영문 숙어의 long for, short of 와 관련한 가설도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이용하시면 한국금융신문의 칼럼을 통해 롱숏의 유래와 롱 포지션, 숏 포지션의 의미와 숏 포지션을 매꾸기 위한 숏 커버링의 사례 등을 알아 보실 수 있습니다.
롱숏 전략이란?
그렇다면 롱숏 전략은 무엇일까요? 자주 언급되는 롱숏 전략은 매수와 매도의 전략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롱 포지션은 상승장의 경우에 사용하는 매수 전략이며, 숏 포지션은 하락장의 경우에서 사용하는 매도의 전략입니다. 하지만 주식 시장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단순하게 상승, 하락장으로 나누어 지지 않습니다. 매우 오랜 기간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횡보장의 경우도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횡보장의 경우에서 사용하는 것이 롱숏전략입니다. 즉, 매수와 매도의 전략을 동시에 취하는 전략으로 저평가된 주식을 사서 롱 포지션을 취하고 고평가된 주식을 파는 숏 포지션을 동시에 사용하는 투자 기법입니다.

또한 롱숏전략은 헤징의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헤징이란 일종의 보험의 역할로 미래의 가치가 불투명한 주식의 경우 상승할 수도 있지만 하락할 수도 있습니다. 주가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롱 포지션을 취하고 만약의 경우에 대비해서 일정 비율은 하락에 배팅하는 숏 포지션을 취하여 손실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보험 역할의 헤징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마치며
롱 포지션, 쇼트 포지션의 정확한 의미를 알아보았습니다. 공매도는 쇼트 포지션에 해당하지만 쇼트 포지션 전체를 의미하진 않습니다.
또한 롱숏의 유래는 정확한 정설은 없으며 여러가지 가설이 존재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중세 유럽의 탤리스틱 가설과 주식 차트에서의 상승장과 하락장 구간의 길이 가설이 제일 유력한 것 같습니다.
롱숏전략은 매수와 매도의 전략을 동시에 취하는 투자 기법이며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장기간 횡보장의 경우나 미래 가치가 불투명한 주식의 헤징 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합니다.
숏 포지션의 경우는 위험도가 있는 투자 기법입니다. 자신의 투자 전략이 확실하고 주식 시장의 흐름을 읽을 줄 알아야 합니다.
해당 내용은 투자 강요의 목적은 없으며 정보 전달의 목적으로 쓰여진 포스팅입니다. 투자의 책임은 100% 본인에게 있다는 점을 알려드립니다.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블로그 내 다른 포스팅도 참고해보세요.
저는 앞으로도 돈과 관련된 모든 이야기를 이해하기 쉽게 알려드리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