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해외상장 해외 ETF 중 인지도가 높은 SPY, QQQ, DIA, IVV, VOO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또한 해외상장 해외 ETF의 세금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다뤄보려 합니다. SPY, IVV, VOO, QQQ, DIA 등 다소 생소한 용어들에 너무 겁먹지 마시고 그저 ETF 상품명이 다를 뿐입니다. 5분만 투자하셔서 쉽게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국내상장 해외 ETF를 다뤄보았습니다. ETF의 기본적인 개념과 국내 ETF 대해 먼저 숙지하고 있으면 본 포스팅을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이전 포스팅에서 다룬 내용은 다루지 않을 예정이니 이 글을 먼저 읽고 오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앞의 2개의 포스팅과 연계하여 주식에 이제 입문하신 주린이 기준으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국내상장 해외 ETF관련 포스팅에서는 KODEX 미국S&P500 TR, KODEX 미국나스닥100 TR, TIGER 미국S&P500, TIGER 미국나스닥100을 소개해드렸습니다. 앞에서 언급한 SPY, IVV, VOO, QQQ, DIA 마찬가지로 해외상장 해외 ETF 상품 이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대표적인 해외상장 해외 ETF 5가지
SPY, IVV, VOO, QQQ, DIA는 가장 대표적인 해외상장 해외 ETF 상품입니다. 가장 대표적이라는 말은 가장 기본적이라는 말과 비슷합니다. ETF 상품은 여러 분야에서 파생되어 현재는 매우 다양하지만 기본을 먼저 갈고 닦는 것이 중요하겠죠?
미국 주식과 관련한 기본 정보는 아래의 글들을 참고해보세요.
2023년 미국 주식 휴장일, 거래시간 및 섬머타임, 미국 주식 왜할까?
미국 주식 데이마켓(미래에셋) 시간 외 거래 하는법 자주묻는 질문 3
우선 해외 ETF 시총규모 순위 TOP10을 먼저 보여드리겠습니다. 해당자료는 ETF.com에서 발췌한 자료이며 기준일은 2023년 8월 24일입니다.

해외상장 해외 ETF 중 SPY, IVV, VOO, QQQ, DIA를 하나씩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데이터의 기준일은 2023년 8월 24일 기준입니다.
SPY(스파이)
정식 ETF명은 SPDR S&P 500 ETF Trust입니다. SPY는 티커로 우리에게 좀 더 친숙하며 티커로 자주 불리고 있습니다. 세계 최초의 ETF 상품이며 세계 최고 시가총액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잠깐! 티커란?
Ticker는 Ticker symbol의 약자로 간단하게 주식 시장에서 종목명을 나타내는 종목코드입니다. 미국의 경우는 영문으로 약자를 표기하며 우리나라의 경우는 숫자료 표기합니다.
ex) APPLE = AAPL , TESLA=TSLA, 삼성전자=005930
이 때 뒤에 표기된 AAPL, TSLA, 005930로 표기된 것을 티커라고 합니다.
아래의 사진은 2023년 8월 24일 기준 최근 5년 간 SPY 주가 변동 그래프입니다. 가격은 443.03달러입니다.

운용사 : 미국 SSGA(State Street Global Advisors)
기초지수 : S&P500
상장일 : 1993년 1월 22일
배당율(분배율) : 1.47%(분기별)
수수료 : 0.09%
시가총액 : 403.91B 달러

기간 별 수익률 입니다. 그래프에 해당하는 5년 간 수익률은 10.76%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의 자료는 SPY의 구성 종목과 비율 및 구성 분야 비율입니다. S&P500을 기반으로 둔 504개의 종목을 보유하고 있으며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엔비디아, 메타, 테슬라, 버크셔해서웨이 등 친숙한 기업들이 보이며 IT, 금융, 건강 분야가 높은 비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음은 IVV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VV
IVV의 정식 ETF명은 iShare Core S&P500 ETF이며 티커는 IVV입니다. ETF 시총 규모 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5년 간 IVV 주가 변동 그래프입니다. 가격은 445.25달러이며 기준일은 위와 동일합니다.

운용사 : 미국 블랙록(Blackrock)
기초지수 : S&P500
상장일 : 2000년 5월 15일
배당율(분배율) : 1.50%(분기별)
수수료 : 0.03%
시가총액 : 344.97B 달러
참고로 iShare은 미국 블랙록의 브랜드명입니다.

위의 자료는 기간 별 IVV의 수익률입니다. 최근 5년 간 10.79%의 수익률 보이고 있으며 SPY보다는 낮은 수수료와 미세한 높은 수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역시 S&P500을 기초지수로 두고 있기 때문에 SPY와 크게 차이가 없는 구성 종목과 비율 및 구성 분야 비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음은 VOO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VOO(부)
VOO의 정식 ETF명은 Vanguard S&P500 Index Fund(ETF)이며 티커는 VOO입니다. 해외 ETF 시총 규모 3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5년 간 VOO 주가 변동 그래프입니다. 가격은 406.95 달러이며 기준일은 위와 동일합니다.

운용사 : 미국 Vanguard
기초지수 : S&P500
상장일 : 2010년 9월 7일
배당율(분배율) : 1.54%(분기별)
수수료 : 0.03%
시가총액 : 327.68B 달러

기간 별 VOO 수익률입니다. 최근 5년 간 10.80%의 수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수수료는 SPY보다는 낮고 IVV와는 동일한 0.03%이며 S&P500 지수를 기초지수로 둔 3개의 ETF 중 수익률과 분배율이 가장 높습니다.

VOO의 구성 종목과 비율 및 분야 비율입니다. 앞서 소개해드린 SPY, IVV와는 비교적 상이한 구성 종목 비율과 분야 비율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점으로 수익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S&P500을 기반으로 둔 대표적인 해외상장 해외 ETF는 여기까지 소개해드리고 나스닥100을 기반으로 두고 있는 해외상장 해외 ETF QQQ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QQQ(인베스코 QQQ)
QQQ의 정식 ETF명은 Invesco QQQ Trust입니다. 티커는 QQQ이며 SPY와 더불어 가장 유명한 해외 ETF라고 생각합니다. 해외 ETF 시총규모 5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5년 간 QQQ 주가 변동 그래프입니다. 가격은 369.11달러이며 기준일은 동일합니다.

운용사 : 미국 인베스코(Invesco)
기초지수 : NASDAQ-100
상장일 : 1999년 3월 10일
배당율(분배율) : 연 0.59%
수수료 : 0.20%
시가총액 : 196.96B 달러

QQQ 기간 별 수익률 입니다. 최근 5년 간 15.76%의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앞에 소개해드린 S&P500을 기반으로 한 상품들과 달리 나스닥100을 기반으로 하며 수익률이 높지만 수수료는 0.20%로 다소 높고 배당율은 연 0.59%로 오히려 낮습니다.
비교적 안정적인 S&P500을 기반으로 하는 해외상장 해외 ETF보다 공격적이며 변동성이 더 높은 나스닥100을 선호하시는 분들에게는 매우 인지도가 높은 ETF입니다.

QQQ의 구성 종목과 비율 및 분야 비율입니다. S&P500을 기반으로 하는 SPY, IVV, VOO와는 큰 비율 차이를 보이며 부문 비율 역시 기술 서비스, 전자 기술 등의 IT관련 비율이 매우 높습니다.
S&P500과 나스닥100의 근본적인 차이로 인해 발생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다음은 비교적 시총 규모는 작지만 미국 3대 지수로 불리는 다우존스 지수를 기반으로 하는 해외상장 해외 ETF인 DIA(다이아)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DIA(다이아)
DIA의 정식 ETF명은 SPDR DJ INDUSTIRAL AVERAGE ETF TRUST입니다. 다소 긴 영어에 당황하셨을 수 있지만 우리말로는 SPDR 다우존스 산업평균 ETF입니다. ETF명에서 알 수 있듯 다우존스 지수를 기반으로 두고 있습니다. 티커는 DIA(다이아)입니다.
아래는 최근 5년 간 DIA 주가 변동 그래프입니다. 한 주당 가격은 344.83달러이며 기준일은 동일합니다.

운용사 : 미국 SSGA(State Street Global Advisors)
기초지수 : DJ Industrial Average(다우존스지수)
상장일 : 1998년 1월 14일
배당율(분배율) : 월 1.91%
수수료 : 0.16%
시가총액 : 29.60B 달러

기간 별 DIA 수익률입니다. 최근 5년 간 8.08%의 수익률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간 별 수익률에서 확인 할 수 있는 점은 다른 해외 ETF 상품과 달리 기간이 길수록 수익률이 높게 나오고 있습니다. 물론 절대적인 건 아니지만 매우 안정적입니다.
다우존스 지수를 기반으로 두고 있으며 수수료는 0.16%로 다소 높은 편이지만 월마다 배당을 하며 배당율은 1.91%입니다.
시총 규모가 작지만 소개해드린 이유가 여기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다우존스에 포함되어 있는 기업들은 규모가 매우 크고 안정적이며 오랜 역사를 지닌 미국을 대표하는 기업들입니다.
그로 인해 매우 안정적이며 배당 또한 월마다 하고 있습니다. 이미 고성장을 마친 기업들이므로 성장률이 적기 때문에 수익률은 낮은 편이지만 하락할 가능성은 비교적 매우 낮은 안정적인 ETF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DIA의 구성 종목과 비율 및 분야 비율입니다. 다우존스지수를 기반으로 두고 있기 때문에 보유 종목과 비율 및 분야 비율 또한 역시 매우 차이점이 있습니다.
특이점은 비교적 최근에 발달하면서 성장한 IT 계열의 산업 분야가 다우존스에 다른 지수에 비해 적은 비율을 차지하기 때문에 금융과 같은 오랜 역사를 지닌 산업 분야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본 자료는 ETF.com에서 모두 발췌했으며 해외상장 해외 ETF를 하신다면 꼭 알아두셔야 할 사이트 중 하나입니다. 저와는 전혀 관련 없는 사이트이며 광고하는 것은 아니니 안심하고 사용하셔도 됩니다. 사용하신다면 크롬에서 한국어로 번역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럼 어떤 걸 해야 할까요?
만약 저에게 이런 질문이 온다면 우선적으로 투자는 100% 본인의 책임이라는 말을 먼저 하고 시작합니다. 하지만 제가 투자한다고 가정한다면 S&P500, 나스닥100, 다우존스지수를 기반으로 두는 해외상장 해외 ETF를 분산해서 투자하겠습니다.
투자의 기본은 분산 투자입니다. 매우 안정적인 DIA로 안정적인 자산을 형성한 후 SPY, IVV, VOO 중 하나에 투자한 후 다소 공격적인 나스닥100을 기반으로 한 QQQ에 투자하겠습니다.
레버리지를 활용한 상품들도 많이 있지만 본 포스팅에서는 주식 입문자인 주린이를 위해 작성하기 때문에 레버리지와 같은 상품은 소개하지 않겠습니다.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투자는 100% 본인의 책임이며 자신의 투자 성향 별 투자를 하셔야 합니다. 저의 개인적인 성향과 투자 방식을 강요하는 목적은 전혀 없습니다.
다음은 해외상장 해외 ETF 투자를 할 때 꼭 알아두어야 할 세금에 관한 정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해외 ETF 세금
기본적인 세금과 관련 된 내용은 지난 포스팅에서 다루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의 일부 자료만 인용하여 추가적인 부분만 설명하겠습니다. 더욱 자세한 세금 정보는 국내상장 해외 ETF에서 읽고 오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국내 ETF | 국내상장 해외ETF | 해외상장 해외ETF | |
증권거래세 | 없음 | 없음 | 없음 |
배당소득세 | 15.4% | 15.4% | 15.4% |
양도소득세 | 20% (5,000만원까지 공제) |
20%(해외상장 해외 ETF 포함 250만원 공제) | 20%(국내상장 해외 ETF 포함 250만원 공제) |
손익과세 | 손익과세 적용 | 손익과세 적용 | 손익과세 적용 |
금융종합소득 | X | X | X |
위의 자료는 지난 포스팅에서 다루었던 2023년 개정 된 ETF 세금 관련 자료입니다.
국내상장 해외ETF의 경우는 중개형 ISA 계좌를 이용하는 팁을 드렸습니다. 해외상장 해외 ETF의 경우는 IRP 계좌(연금계좌)를 이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중개형 ISA 계좌와 IRP 계좌(연금계좌)에 관한 포스팅은 추후에 꼭 할 예정이니 조금만 기다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래의 기사는 ETF 세금과 관련하여 매우 잘 정리된 투자 방법에 관한 기사입니다. 짧은 기사이니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마치며
해외상장 해외 ETF에 관해 소개해드렸습니다. ETF는 미국에는 2천개가 넘어가는 상품들이 있으며 국내에서도 국내상장 해외 ETF를 이용해서 투자하실 수 있지만 직접 해외에 투자하기 해보시는 것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본 포스팅은 투자를 강요하는 목적은 전혀 없으며 투자를 하고 싶지만 정보가 부족한 주식 입문자를 위해 정보를 제공하는 목적입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100% 있으며 원금을 상실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시고 투자를 진행하시길 바랍니다. 모두 현명한 투자하시고 부자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포스팅을 하면서 코스피, 코스닥과 관련된 포스팅은 있지만 미국의 주요지수에 관한 포스팅이 있으면 좀 더 이해하기 쉬울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빠른 시일 내에 중개형 ISA 계좌 / IRP(연금계좌) 관련 포스팅과 미국 주요지수에 대한 포스팅을 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블로그 내 다른 포스팅도 참고해보세요.
저는 앞으로도 돈과 관련된 모든 이야기를 이해하기 쉽게 알려드리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