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상장 해외 ETF 순위 TOP10, 추천 및 세금(양도,배당소득세)

이번 포스팅은 국내상장 해외 ETF 순위 TOP10, 추천 상품, 해외 ETF 세금(증권거래세, 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국내 ETF와 마찬가지로 해외에도 다양한 ETF 상품이 있습니다. 개념은 같지만 해외의 상품이다 보니 국내에 상장되어 있는지, 해외에 상장되어 있는지에 따라 국내의 상품과 세금, 수수료 등의 약간의 차이점이 존재합니다.

ETF의 개념과 국내 ETF에 대해서는 이번 포스팅에서 다루지 않을 예정입니다. ETF의 기본적인 내용과 국내 ETF를 다룬 블로그 내 포스팅이 있습니다. 링크를 이용해서 먼저 읽고 오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국내 ETF 투자 설명과 추천 이유(장점), 단점 및 TIP 5가지(주린이 필독)

 

본 포스팅은 주식 입문자를 초점으로 국내상장 해외 ETF 기준으로 작성했으며 해외상장(미국상장) 해외 ETF는 추후 따로 포스팅하겠습니다.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서 국내상장 해외 ETF 순위 TOP10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해외 ETF 순위 TOP10

국내상장 해외 ETF 순위 TOP10
출처 : 네이버증권

 

본 자료는 2023년 8월 23일 기준 시가총액 기준 국내상장 해외 ETF 순위 TOP10입니다. 다들 미국의 ETF가 1위라고 예상하셨겠지만 1위는 중국 전기차 관련 ETF가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밑으로는 미국 주식의 ETF가 줄을 잇고 있으며 전세계 1, 2위 경제 대국 답게 미국과 중국의 상품이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예상 밖의 중국 전기차 시장 규모

북미 지역의 전기차 시장이 언론에 자주 나오다보니 중국 전기차 시장이 전세계 1위 시장인 것을 모르시는 분들이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중국 시장은 북미 시장에 비해 포화 된 상태이며 미국 IRA 법안으로 북미 지역의 전기차 시장이 과열 되고 있기 때문에 북미 지역 전기차 시장이 언론에 자주 언급되는 것입니다.

미국 IRA 법안 뜻과 주요 내용 , 국내 3가지 산업 분야에 미치는 영향

 

해외 ETF 상품 순위 TOP10을 알아봤으니 저의 개인적인 기준으로 추천하는 추천 해외 ETF 상품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국내상장 해외 ETF 추천

 

개인적 의견임을 먼저 밝히면서 간단하게 추천 상품과 이유를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추천 ETF는 아래에서 다루겠습니다. 이제 막 주식에 입문한 주린이를 기준으로 추천합니다. 또한 해외 ETF는 환율, 국제 정세 등의 변수가 있는 점을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기사의 주요 내용은 국내상장 해외 ETF 중 시총기준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전기차 관련 ETF가 1년만에 반토막이 났으며 순자산 규모도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 주요 내용입니다.

현 시점에 중국 주식 ETF를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ETF 상품은 기본적으로 장기투자를 기반으로 하며 경제가 좋아지며 지수가 상승할 것을 기대하며 투자하는 상품입니다. 현재의 중국은 청년 실업률, 소비자물가지수, 부동산 위기 등으로 인해 디플레이션의 위기에 빠져 있습니다. 이런 점을 생각했을 때 개인적으로는 중국 ETF는 현재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중국 디플레이션? 세계는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뜻과 중국 디플레이션 원인 3가지

 

KODEX 미국S&P500 TR

 

KODEX 미국S&P500 TR
출처 : 네이버증권

 

운용사 : 삼성자산운용사
기초지수 : S&P500 Total Ruturn Index

상장일 : 2021년 4월 9일
총보수 : 0.050%
시가총액 : 5,320억원

본 자료는 네이버 증권에서 가져왔으면 2023년 8월 23일 기준입니다.

세부 지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KODEX 미국S&P500 TR 세부지표
출처 : 네이버증권

 

순자산가치(NAV)와 괴리율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괴리율이 낮은 상품을 골라야 한다는 팁을 저번 포스팅에서 언급했던 적이 있습니다.

구성종목은 미국 S&P500 Total Return Index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애플,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의 S&P500 상장 되어 있는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KODEX 미국나스닥 100TR

KODEX 미국나스닥 100 TR
출처 : 네이버증권

 

운용사 : 삼성자산운용사
기초지수 : NASDAQ-100 Total Ruturn Index

상장일 : 2021년 4월 9일
총보수 : 0.050%
시가총액 : 4,841억원

KODEX 미국S&P500 TR과 같은 TR ETF 상품입니다. 하지만 기초지수가 S&P500이 아닌 나스닥100을 기반으로 두고 있습니다.

세부 지표는 아래의 사진을 참고하세요.

KODEX 미국나스닥 100 TR 세부지표
출처 : 네이버증권

 

나스닥100을 기초지수로 둔 TR ETF 상품이기 때문에 애플, 아마존, 인텔 등의 익숙한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Total Return Index가 상품에 적혀있는 TR입니다. 그렇다면 TR은 무엇이며 왜 적혀 있는 것일까요?

 

TR은 무엇일까?

TR이라는 용어가 생소하실 수도 있기 때문에 TR의 뜻을 간단하게 설명하고 넘어가겠습니다. TR은 Total Ruturn의 약자입니다.

PR(Price Return) = 가격변동
TR(Total Return) = 가격변동 + 배당금

간단하게 설명하면 배당금이 추가된 개념입니다. 기본적인 PR상품은 따로 표기하지 않으며 TR상품에만 따로 표기합니다.

PR의 경우는 따로 배당금을 수령하게 되지만 TR의 경우는 배당금 자체가 재투자 되는 방식입니다. 배당금을 수령하게 되면 세금이 발생되지만 수령하지 않고 투자하게 되면 따로 세금이 발생하지 않게 됩니다. 또한 배당금 자체가 자동적으로 재투자에 사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투자에서 복리효과를 누릴 수 있는 상품입니다.

TR과 PR의 비교

아래의 표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겠습니다. 주가는 1만원이며 배당금은 500원일 때의 가정입니다.

2023년 8월 23일
주가 배당금액 ETF계좌 내 계좌
PR 10,000 500 10,000 500
TR 10,000 500 10,500

 

TR ETF의 경우는 배당금으로 다시 자동 재투자하게 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경우 주가가 상승하게 된다면 ETF 계좌 자체의 금액이 500원 차이이므로 500원의 상승률 만큼의 차익이 발생합니다. PR ETF의 경우는 500원에 대한 세금이 발생하게 됩니다.

주가가 계속해서 상승 할 경우 복리처럼 차익이 벌어지게 되지만 배당에 대한 세금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입니다.

쉽게 단리와 복리의 개념 중 복리의 개념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TIGER 미국S&P500 // TIGER 미국나스닥100

이번에는 PR 상품 중에 가장 거래량도 많으며 시총순위 상위를 차지하고 있는 상품입니다. 규모가 큰 ETF일수록 괴리율과 보수율이 낮을 가능성이 높고 그만큼 인기가 있다는 것은 신뢰가 높다는 것을 뜻하기도 합니다. 이런 점 때문에 주식에 이제 입문하신 분들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입문하기 좋은 상품입니다.

운용사 : 미래에셋자산운용
기초지수 : S&P500 // NASDAQ-100

상장일 : 2020년 8월 7일 // 2010년 10월 18일
총보수 : 0.070%
시가총액 : 19,395억원 // 23,815억원

 

TIGER 미국S&P500
출처 : 네이버증권

 

TIGER 미국나스닥 100
출처 : 네이버증권

 

KODEX 미국S&P500 TR, KODEX 미국나스닥100 TR 삼성자산운용에서 운용하는 2가지 TR 상품과 TIGER 미국S&P500, TIGER 미국나스닥100 미래에셋자산운용에서 운용하는 2가지 PR 상품을 소개해드렸습니다.

미국 주식을 기반으로한 ETF 상품들을 추천해드렸습니다. ETF 뿐만 아니라 저는 미국 주식 또한 경험해보시는 것을 추천해드립니다.

2023년 미국 주식 휴장일 및 섬머타임, 미국 주식 왜할까?

마지막으로 국내상장 해외 ETF의 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 등의 세금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2023년 국내상장 해외 ETF 세금(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

 

소득이 발생하면 세금이 발생하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미국의 건국 아버지 중 한명이자 100달러 지폐의 모델인 벤자민 프랭클린은 Nothing is certain but death and texes.(이 세상에서 확실한 것은 죽음과 세금이다.)라는 말을 남겼습니다.

해외 ETF의 세금을 알아보기전에 양도소득세와 배당소득세를 먼저 간단하게 설명하겠습니다.

양도소득세 : 주식 혹은 ETF를 매도(판매) 할 때 차익에 발생
배당소득세 : 배당금에 부과 되는 세금

참고로 모든 ETF는 증권거래세(주식을 판매할 때 매도액의 0.25%을 부과하는 세금)가 면제됩니다.

2023년을 기준으로 ETF 세금이 변경되었습니다. 국내 ETF, 국내상장 해외 ETF, 해외상장 해외 ETF 3가지의 변경점을 아래의 표로 간단하게 정리 해두었습니다.

 

국내 ETF 국내상장 해외ETF 해외상장 해외ETF
증권거래세 없음 없음 없음
배당소득세 15.4% 15.4% 15.4%
양도소득세 20%
(5,000만원까지 공제)
20%(해외상장 해외 ETF 포함 250만원 공제) 20%(국내상장 해외 ETF 포함 250만원 공제)
손익과세 손익과세 적용 손익과세 적용 손익과세 적용
금융종합소득 X X X

 

 

세금 줄이는 TIP

위의 설명한 세금 중 배당소득세와 양도소득세를 줄이는 방법이 있습니다.

배당소득세 없애기

배당소득세는 위의 추천 상품에서 설명했지만 한번 더 말씀드리면 배당금을 자동으로 재투자하게 되는 구조를 지닌 TR 상품을 이용하게 되면 배당소득세는 발생하지 않으며 복리 효과를 누리면서 투자하실 수 있습니다.

양도소득세 줄이기

중개형 ISA 계좌를 이용한다면 국내상장 해외 ETF를 거래할 경우 양도 소득세를 줄일 수 있습니다. 중개형 ISA 계좌는 과세 방법이 200만원 까지는 비과세이며 초과분에 대해서는 9.9%의 과세를 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500만원의 소득이 발생했을 경우

일반계좌에서는 500*15.4%= 77만원
중개형 ISA 계좌에서는 (500-200)*9.9%=29.7만원

입니다. 더 복잡한 과세방식을 적용해야 하지만 단순 비교를 위해 쉽게 예를 든 것이니 양해부탁드립니다.

중개형 ISA 계좌는 증권사마다 개설할 수 있으며 추후 중개형 ISA 계좌는 따로 포스팅하여 다뤄보겠습니다.

중개형 ISA 계좌 투자 비율 출처 KB증권
출처 : KB증권

 

마치며

국내상장 해외 ETF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해외 ETF라고는 하지만 대부분 중국, 미국과 같은 경제 규모가 큰 나라의 기초지수, 테마주를 포함한 ETF 상품이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주식에 입문한 지 얼마 안 된 분들을 위해 최대한 쉽게 정리했습니다.

본 포스팅은 투자를 강요하는 글은 아니며 개인적인 경험과 의견이 적혀있으니 객관적인 정보만 골라서 습득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모든 투자는 본인의 선택이고 본인의 책임입니다. 모두 현명한 투자하시고 부자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이 마음에 드셨다면 블로그 내 다른 포스팅도 참고해보세요.

제 블로그는 돈과 관련된 모든 이야기를 다룹니다.

 

Leave a Comment